누구를 위한 history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03:00
본문
Download :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_2083144.hwp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과거를 이해한다기 보다는 단지 엘턴의 견해를 공부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③ 수많은 집단과 계급과 사람들이 歷史로부터 배제되어왔다.
*歷史와 과거의 구분
과거 (the past)- 옛날 어떤 장소에서 일어난 일, 歷史가의 관심의 대상
歷史-歷史가들의 저술, 歷史 서술(historiography); 歷史가가 과거를 다루는 방식
History- 관계의 총화
** 과거와 歷史 구분의 중요성
①과거는 일어난 일이다.
순서






Download :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_2083144.hwp( 84 )
누구를 위한 history인가?
다. 이미 사라져 버렸다.
세계 각지에 수많은 여성들이 살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歷史책에 거의 등장하지 못하고
歷史에서 감추어져 왔다.
theory 적측면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에 대한 자료입니다.
ex) 17C 스페인사
도서관의 관련 서적이나 스페인 문서보관소의 사료를 찾을 수 있는데,
이 자료(data)에 대한 읽기 그 자체가 수업과 책을 통해 이미 습득해 의미를 갖게 된
배움과 습득의 산물인 것이다.
따라서 歷史란 텍스트들 간의 상호관계를 통해 만들어진 언어적 구성물이다. 이론적측면 ,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1장. 歷史란 무엇인가 2
2
<실천적 측면> 5
<歷史의 정이> 5
2장. 歷史 담론의 기본 문제들 6
진 실 6
사실과 해석 6
편 견 6
감정이입 7
1·2차 자료(data)와 증거 9
정이 쌍; 인과론 등 9
歷史: 과학인가 예술인가 10
결 론 10
3장. 포스트 모던 세계의 歷史연구 10
1장. 歷史란 무엇인가
1. 歷史란 세계를 해석하는 여러 가지 담론 중 단지 하나에 불과하다.
*누가 읽느냐에 따라 전혀 다르게 읽히고 해석됨
**시공간의 차이에 따라 전혀 다른 읽기 존재
ex) 어떤 사람이…(투비컨티뉴드 )
누구를 위한 history인가? 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
동일한 연구 대상도 상이한 담론적 연구에 따라 또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전혀 다르게 읽혀질 수 있기 때문에 과거를 歷史적으로 읽는 행위가 필요하다.
② 歷史가의 견해와 사실을 구분해 가며 읽어야 한다.
歷史는 歷史가의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과거에 대한 구성물이다. 이것은 歷史가들을 통해 다시 살아난다. 과거와 歷史는 다른 것이며 서로 동일시 될 수 없다.
ex) 16C 영국사 수업의 주교재; 엘턴「튜더 왕조 하의 영국」
엘턴이 어떠한 주관을 가졌으며 이러한 주관을 가지게 된 이유를 알아야 하고 근거가 가진 사실성을 밝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