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과 남한강의 운하건설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07:31
본문
Download : 낙동강과 남한강의 운하건설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 검토.hwp
운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1초당 약23톤의 물이 흘러야 한다. 현재 남한강이 수량에서 약간의 여유가 있다고 하지만, 그만한 물을 낙동강으로 보낼 여력은 분명히 없다. 이것은 현재 한강 서울시 구간에 흐르고 있는 수량의 약 4분의 1이나 되는 양이다.






이 제안을 받아들이기에는 앞서 우리 나라가 처한 여건과 기술적인 면에서 짚고 넘어가야 될 몇가지 사항이 있다
첫째, 우리 나라와 같이 국토여건에 내륙운하가 과연 적합한 것인가 하는 문제다. 그러나 막대한 비용을 들여 하도를 굴착해도 필요수심을 유지할 수 없을뿐 아니라, 여러 결점이 야기될 것이다.
셋째, 배가 운항할 수 있는 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하도(河道)의 굴착문제다. 우리 나라는 비가 연중 고르게 내리지 않고, 6-9월에 집중돼 홍수가 잦고, 10-5월 8개월동안의 갈수기에는 하천의 물이 말라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의 안정적 공급과 수질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실정에서 경부운하를 유지하기 위해 한강과 낙동강에서 수십억입방의 수량을 별도로 확보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둘째, 하천수량 확보의 문제다. 국토가 좁고 큰 도시와 공단이 주로 바다에 연해 발달된 우리 나라는 인천항과 부산항을 연결하는 5백40km의 경부운하를 8조6천7백억원의 건설비, 그리고 기술적, environment(환경) 적, 사회경제적 결점을 안으면서 경부운하 건설을 주장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하천공학적으로 볼 때 하천은 물과 하도가 움직이는 자연계이기 때문에 몇번의 홍수후에도 굴착된 하도가 홍수로 유출되는 흙과 모래에 의해 다시 메워…(省略)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경영경제,레포트
낙동강과 남한강의 운하건설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 검토
낙동강과남한강의운하건설에따른경제적타당성검토 , 낙동강과 남한강의 운하건설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 검토경영경제레포트 ,
낙동강과남한강의운하건설에따른경제적타당성검토
Download : 낙동강과 남한강의 운하건설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 검토.hwp( 78 )
순서
다. 운하는 넓은 국토와 큰 하천을 가진 대륙국가에서 항만과 내륙 배후지간, 또는 항구와 항구를 단거리 내륙수로로 연결이 가능한 국가에서 주로 대규모 장거리 수송을 위해 발달해 왔다. 세종연구원에 의하면 낙동강 중하류부 하도를 굴착해 필요수심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내륙주운을 위해서는 연중 배가 다닐 수 있는 충분한 수심이 유지되고 주운용 갑문운용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하천수량이 확보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