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9 00:59
본문
Download :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pptx
설명
_SLIDE_1_
풍수신앙과
민간속신
_SLIDE_2_
목차
1. 풍수신앙
1.1 풍수 사상의 개요
1.2 풍수 사상의 역싸
1.3 민속신앙 속에 수용된 풍수사상
1.4 풍수신앙의 예
2. 민간속신
2.1 금기와 민속
2.2 점과 민속
2.3 성기신앙
2.4 도깨비신앙
_SLIDE_3_
1.1 풍수 사상의 개요
풍수사상
: 땅의 길흉이 사람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상.
장풍득수(藏風得水)에서 어원 originate
풍수의 구분
1. 양기풍수
도읍이나 군현, 마을 등 취락풍수
2. 양택풍수
개인의 주택 풍수
3. 음택풍수
산소의 자리잡기 등 묘지풍수
3
_SLIDE_4_
인류가 존재하기 스타트하던 때
거세게 몰아치는 곳을 피하고 양지바른 곳에 터를 잡음
신라말기
china(중국) 의 영향과 도선국사에 의해서 풍수사상이 학문적으로 체계화
고려, 조선시대
학문적으로 위치를 굳히고 과거의 시험과목으로도 자리잡음
일제강점기
일제가 우리나라의 기운을 꺾기 위해 안간힘을 쏟음
광복 이후
학문으로서의 자리를 또 다시 잃었으나 최근 관심과 움직임 증가
조선시대 말기
내용과 theory(이론)이 어려워져일부 계층의 전유물화
1.2 풍수 사상의 역싸
_SLIDE_5_
1.3 민속신앙 속에 수용된 풍수사상
5
풍수사상은 무속신앙과 주역의 음양오행사상 및 오방오제설, 불교의 오방신 및 무속신앙의 오방신장 관념이 일정하게 습합된 것
_SLIDE_6_
1.4 풍수신앙의 예
삼태미형국
사두혈
배형국
6
_SLIDE_7_
2.1 금기와 민속
금기의 定義(정의)
종교적 관습에서 어떤 대상에 대한 접촉이나 언급이 금지되는 일, 또는 고대의 종교文化(문화)에 기본적인 신성 관념 및 습속의 하나
7
금기의 원리
선택의 원리
(‘가림’)
2. 금지의 원리
(‘지킴’, ‘삼감’, ‘금함’)
_SLIDE_8_
2.1 금기와 민속
금기의 대상
더러운 것
겉보기나 크기 등이 비정상적인 …(drop)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순서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인문사회레포트 ,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풍수신앙과 민간 속신.pptx( 40 )
풍수신앙과,민간,속신,인문사회,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