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천을 고려한 도시계획의 수립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1 21:55
본문
Download : 무심천을 고려한 도시계획의 수립방향.hwp
따라서, 무심천의 수질 보존과 함께 수변 環境의 개선을 통해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표상을 보여줄 수 있따
Ⅲ. 무심천의 하천 기능과 도시계획시설
1. 하천 기능에 따른 제반관련시설과 도시계획시설
도시계획시설로서의 하천은 공공의 이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하천과 하천에 유입 분기되는 수류로서 하천법을 준용할 필요가 있는 준용하천으로 구분되며 운용관리분류상 직할하천, 지방하천, 준용하천, 소하천, 계곡수 등으로 구분된다된다.
하천은 농업용수로서 활용되고 수운교통, 상수도, 수력발전 등 산업발전의 원천적 자원이나,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범람 시에는 재난 발생원이 될 수도 있따 따라서, 하천의 기능…(省略)
순서
무심천의 도시계획적 의미와 기능을 구명하면서 하천 기능과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조화로운 방법을 구체화하고 무심천의 도시계획적 활용을 검토하면서 무심천의 도시계획적 plan을 모색하고자 한다. , 무심천을 고려한 도시계획의 수립방향생활전문레포트 ,






설명
레포트/생활전문
Download : 무심천을 고려한 도시계획의 수립방향.hwp( 39 )
다. 무심천은 도시 내에 관통하는 수로로서 각종 자연수로를 포용하고 시가지내 지류나 실개천을 흐르게 하여 자연적 수경관을 조성할 수 있따
여섯째, 지속가능성을 표출한다.
Ⅰ. 서 론
Ⅱ. 무심천의 도시계획적 의미와 개요 및 기능
1. 의 미
2. 개요 및 기능
Ⅲ. 무심천의 하천 기능과 도시계획시설
1. 하천 기능에 따른 제반관련시설과 도시계획시설
2. 도시계획시설의 확보와 하천의 조화
3. 하천의 공공공간과 도시계획시설기준의 적용
Ⅳ. 무심천의 도시계획적 활용
1. 하천의 활용과 관련시설
2. 둔치의 활용
3. 자연친화적 선용
4. 생태공원화
Ⅴ. 무심천의 도시계획적 measure(방안)
1. 기본방향
2. 도시공원화 measure(방안)
3. 제반 검토사항
Ⅵ. 결 론
넷째, 도시안전의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도시는 공공시설물과 건축물 그리고 기타의 인공적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따 그러한 조형계 내에 자연적 요소로서의 하천이 공존함으로서 수경관을 창출한다. 종을 초월한 초종理論(transspecies theory)에 따라 동식물의 공존을 존중해야 하는 이 지금, 도시 내에 흐르는 자연하천에 물고기와 자연 식생이 가능한 環境을 만들어줘야 한다.
무심천을 고려한 도시계획의 수립방향
,생활전문,레포트
무심천의 도시계획적 의미와 기능을 구명하면서 하천 기능과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조화로운 방법을 구체화하고 무심천의 도시계획적 활용을 검토하면서 무심천의 도시계획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무심천의 경우에도 시가지를 가로지르는 特性상 청주의 자연적 완충지의 역할을 다할 수 있따 그리고 청주의 방호 및 방재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 될 수 있따
다섯째, 도시미관을 증대시킨다. 지구環境은 생태계의 균형 발전을 전제로 인간에게 영속적인 번영을 가능하게 한다. 하천(직할하천과 지방하천)과 준용하천은 대통령령으로 그 구간과 명칭이 지정되어 있으며 건설교통부장관과 도지사가 관리한다. 도시에는 다수의 사람과 시설이 모여 있따 경우에 따라 전쟁, 자연재난, 화재와 폭발사고, 교통사고 등과 같은 위난이 닥칠 수도 있따 그러한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완충지로서의 공개공지 및 녹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