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예절(職場禮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23:19
본문
Download : 직장 예절(職場禮節).hwp
그러기에 예절이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 상대편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한다.
• 감정을 편안하게 갖고 표정을 온화하게 해서 말한다. 모쪼록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하며, 항상 행복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기타,레포트
설명
직장 예절(職場禮節)
다.
1. 올바른 말씨와 호칭
☑ 올바른 말씨
• 같은 말이라도 상대편이 이해할 수 있고 듣기 편하며 즐겁게 한다. 「이주임」 「김과장」 「최과장께서 지시한 일이 있었습니다」
&…(To be continued )
직장에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예절에 대해서 정리(arrangement)한 자료(data)입니다.
☑ 엘리베이터 안내인이 없는 경우
☑ 승하차시 손님이나 상사에 대한 안내
☑ 승하차시 차의 좌석 순위
☑ 비행기의 좌석 순위
9. 술·담배에 대한 에티켓
☑ 술에 대한 에티켓
☑ 술에 대한 에티켓
10. 동료에 대한 협력
11. 일을 배우는 법
12. 출퇴근과 근무 예절
☑ 출근시
☑ 근무중
☑ 퇴근시
13. 경조사 예절
☑ 선물의 매너
☑ 선물해서는 안되는 것들
☑ 축의금
☑ 문병시
☑ 조문 및 제사의 종류
좋은 인간 관계를 가지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떠나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생각과 남을 존경할 줄 아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 사투리를 쓰는 것보다는 표준말로 말한다. 이것이 바로 예절인 것이다. 「인사부장님」 「총무과장님」
• 상급자에게 그 하급자이면서 자기에게는 상급자를 말할 때는 ‘님’을 붙이지 않고 직책과 직급명만을 말한다.
• 같은 말이라도 고운 말을 골라 쓴다.
☑ 올바른 호칭
✱ 상급자에 대한 칭호
• 상사에게는 성과 직위 다음에 ‘님’의 존칭을 붙인다. 「이상무님」 「政府(정부)장님」
• 성명을 모르면 직위에 ‘님’의 존칭을 붙인다.
• 외래어나 전문 용어를 쓰지 않는다.
• 너무 작거나 크게 말하지 않고, 조용하면서도 알아듣기 좋게 말한다.직장에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예절에 대해서 정리한 자료입니다. 따라서 예절은 자신의 인격을 높이는 계단과도 같다 하겠다. 모쪼록 도움이 있으리라 생각하며, 항상 행복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 직장 예절(職場禮節)기타레포트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순서
Download : 직장 예절(職場禮節).hwp( 86 )
레포트/기타
1. 올바른 말씨와 호칭
☑ 올바른 말씨
☑ 올바른 호칭
2. 바른 자세와 태도
☑ 선자세
☑ 앉은 자세
3. 인사 예절
☑ 인사의 종류
☑ 기본 자세
☑ 인사할 때의 마음가짐
☑ 올바른 인사법
☑ 공수법
☑ 악수의 요령
☑ 악수의 요청
4. 전화 예절
☑ 전화를 받을 때
☑ 전화를 걸 때
☑ 전화 에티켓
5. 손님 접대 예절
☑ 손님을 맞이할 때
☑ 손님을 紹介할 때
☑ 손님을 안내할 때
☑ 응접실의 사용 매너
☑ 회사 방문시 유의 사항
☑ 명함의 교환
6. 수명·보고 및 회의 예절
☑ 명령을 받는 법의 4가지 포인트
☑ 명령을 받는 사람의 마음가짐
☑ 보고하는 법의 4가지 포인트
☑ 보고하는 사람의 마음가짐과 태도
☑ 회의 예절
7. 상사에 대한 예의
☑ 상사에 대한 보좌
☑ 상사에 대한 예의
8. 엘리베이터 및 승하차 예절
☑ 엘리베이터 안내인이 있는 경우에는 손님이나 상사, 여자가 먼저 타고 먼저 내린다. 자칫 예절은 남에게 보이는것 또는 인간 관계만을 위한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자신을 위한 도약의 기본 조건인 것이다. 우리 나라 사람끼리의 대화는 우리말로 해야 한다.
• 발음을 정확하게 하고, 속도를 조절해 상대편이 이해하기 좋게 말한다. 「부장님」 「과장님」
• 다른 부서의 상급자는 부서명을 위에 붙인다.